파킹통장 개념 정리
안녕하세요. 생활의 짬맨입니다.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땐, 혼란스러웠습니다. 파킹이라고 하면 주차밖에 떠오르지 않는데, 통장이라는 단어가 결합이 되어있으니 당췌 감이 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개념조차 알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서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파킹통장 개념 완벽 정리
파킹은 말 그대로 parking(주차)와 통장을 합성한 말인데요. 즉 파킹통장은 짧은 기간 자금을 굴리기 적합한 상품을 일컫는 상품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일반 입출금통장에서는 이자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데, 이 통장은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자까지 준다는 특징이 있지요. 즉 돈을 언제든지 필요할 때, 뺴거나 넣을 수가 있다는 의미인 것이죠. 금리는 금융기관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2~5% 정도의 금리를제공하고, 매일 잔액 기준으로 계산이 되는 게 특징이네요.
이건 돈을 묶어놓자니 얼마있다가 쓸 돈이라 애매하고, 그냥 두자니 아까운 상태에서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계좌인데요. 즉 단기적으로 자금을 두기에는 적합한 상품이 아닐까 생각해요. 예컨대, 은행에서 파는 MMF나 증권사 CMA와 비슷한 통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파킹 통장은 언제 필요할까?
파킹 통장은 단기자금을 관리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모주 청약을 하려면 경쟁률이 높은 경우에 큰 목돈이 들어가게 되죠. 그래서 청약일에 돈을 입금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넣어둘 수도 있고, 부동산 계약금이나 비상금 등의 자금 관리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네요.
아래는 금융기관 별로 파킹 통장 이율을 정리한 것인데요. 이건 제가 인공지능에게 물어본 내용을 가져다 붙인 것이라, 현재 시점이랑 맞지 않을 수 있으니 그냥 상품 이름 정도만 참고하시기 바라며, 금리는 바뀔 수 있으니 해당 금융기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는 게 정확할 것 같아요.
금융기관별 파킹 통장의 종류 및 이율 정리
카카오뱅크 | 세이프박스 | 연 2.0% | 조건 없음 |
토스뱅크 | 토스뱅크 통장 | 연 2.3% ~ 3.2% | 1000만 원 이하(3.2%), 조건 없음 |
케이뱅크 | 플러스박스/플러스통장 | 연 2.5% ~ 3.0% | 3000만 원 이하(3.0%) |
하나은행 | 주거래우대통장 | 연 2.8% | 우대조건 충족 시 |
신한은행 | 쏠편한 S통장 | 연 2.5% | 500만 원 이하 |
우리은행 | 머니클립 통장 | 연 1.25% | 기본금리 |
IBK기업은행 | 머니박스 | 연 1.5% | 우대금리 포함 |
OK저축은행 | OK짠테크통장Ⅱ | 연 6.5% ~ 7.2% | 50만 원 이하(6.5%), 우대조건 충족 시 |
OK저축은행 | OK파킹플렉스통장 | 연 3.3% | 500만 원 이하, 3억 이하 2.8% |
애큐온저축은행 | 간편페이통장 | 연 3.3% | 500만 원 이하, 우대조건 충족 시 |
웰컴저축은행 | 웰컴주거래통장 | 연 3.3% | 1억 이하, 우대조건 충족 시 |
하나저축은행 | 하나플러스+보통예금 | 연 3.3% | 우대조건 충족 시 |
웰컴저축은행 | 웰뱅 모두페이 통장 | 연 3.2% | 1000만 원 이하, 우대조건 충족 시 |
유안타증권 | CMA-RP형 | 연 3.2% | 조건 없음 |
한국투자증권 | CMA-RP형 | 연 3.5% | 조건 없음 |
삼성증권 | CMA-RP형 | 연 2.3% | 조건 없음 |
대체로 보면 저축은행이 대체로 높은 금리를 주는 것 같고, 다음으로 인터넷 은행, 증권사, 시중은행 순으로 가는 것 같아요. 가입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라요.
생활의달인 짬맨은 일상생활에 유용한 생활정보와 법률, 상식 등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응원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니 자주자주 방문해 주세요. 저 좋은 알찬 내용을 가지고 찾아뵐게요. 방문하신 모든 분들에게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 ^_^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ETF 과세를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3.13 |
---|---|
ISA 종합자산관리계좌, 제대로 알아보자 (0) | 2025.03.12 |
군인(군장병)은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에 가입할 수 있을까? (0) | 2025.03.04 |
댓글